요근래 저의 주변사람들이나 저의 단체톡방에서의 제일 이슈!
코로나19의 위험속에서 수영장을 가도 괜찮은것인가?
매일 수영을 즐기는 초보 수영인의 생각으로는... 크게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저도 궁금해서 이것 저것 찾아본 개인적 결론.
본인의 판단이 중요하지요.
일단 관련 자료입니다.
위의 기사내용처럼 수영장 물이 문제가 되리라고는 생각치 않습니다.
수영장 물 보다는 공동으로 사용하는 탈의실, 락커, 휴게공간 사용에 유의해야 할 것 같습니다.
센터 입장이나 퇴장시 꼭 손 소독을 생활화해야 할 것 같구요.
기사에 나온 염소(CI).
그래서 수영장 소독과 살균에 관해서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거의 즉시 사멸한다는데, 수영장에서 눈병이 걸리기도 하니깐요.. 궁금하지 않으십니까?
염소(Chlorine)는 원소기호 'CI'로 공기보다 무겁고 자연 상태에서는 화합물로 존재합니다.
대표적인 염소화합물이 바로 염화나트륨 소금(NaCl)입니다.
염소는 수영장 소독 외 수돗물 소독 등 여러 가지 소독과 표백 처리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염소가 물에 용해되면서 '치아산염소산(Hypochlorous Acid)'이 만들어지는데, 이 치아산염소산은 살모넬라 외 병원성 대장균 그리고 그 외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가 물에 살 수 없도록 합니다.
그래서 수돗물, 식수 등 물의 소독에 사용됩니다.
수영장에 가면 특유의 소독 냄새(?)가 있습니다.
보통 락스나 염소의 냄새라고 생각하는 바로 그 냄새.
이 냄새는 트리클로라민(삼염화질소)의 냄새로 보시면 됩니다.
트리클로라민은 염소가 땀이나 오줌과 같은 인체 배설물과 만나면 생성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입니다.
즉 사람의 소변과 땀등이 염소와 만나서 나는 특유의 냄새라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수영장을 이용하실 때 절대로 지켜야 할 것이 '소변금지'입니다.
수영장 물에 소변을 보시면 독성물질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소변에는 요소, 요산 같은 질소성 화합물이 많이 들어 있는데, 이 화합물들이 소독제인 염소와 만나면 여화시안, 삼염화시안 같은 휘발성 분자가 만들어집니다.
이런 물질을 흡입할 경우 폐, 심장, 중추신경계 같은 장기를 손상시킬 수도 있고, 삼염화아민은 급성 폐질환을 일으킬 수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소변으로 인해 염소는 소독과 살균의 기능을 잃어버리고 수영장 물의 살균력은 떨어지는 것입니다.
그래서 여름철 워터파크 등에서 눈병 등이 잘 걸릴 수 있는 겁니다.
수영장 내에서는 절대 '소변금지'
화장실 가서 좀 해결하고 잘 씻고 들어옵시다.... 쫌...!
빨리 코로나19가 진정되어서 아무 걱정 없이 수영을 즐길 수 있기를 바랍니다.
다들 즐거운 취미생활들 하시기를 희망합니다.
'운동, 취미, 만들기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전거 운동의 장, 단점 (0) | 2020.04.28 |
---|---|
수영을하는 이유 및 좋은점. (0) | 2020.03.10 |
김해서부문화센터, 즐수, 수영장 이야기 (0) | 2020.02.15 |
마닐라 '콘래드호텔' '수영장' (0) | 2020.02.12 |
베트남 나트랑, 빈펄베이리조트 수영장 (0) | 2020.02.10 |